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은 어디서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가입 이력이 있는 사람의 건강보험 취득, 상실 이력을 표시한 문서
- 대출, 신용 거래 상품 등의 금융서비스 이용 시, 소득 증빙용으로 활용
- 회사 이직 시, 경력 증빙용으로 활용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 방법]
먼저 준비물은 발급대상자의 주민등록번호와 공동/간편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오프라인방문시에는 발급대상자의 신분증이 필요합니다. 비용은 온라인에서 발급하거나 오프라인에서 발급하거나 모두 '무료'입니다.
1.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바로가기)
: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다면) 바로 출력 가능
: 민원여기요>개인민원>증명서 발급 및 확인>자격득실확인서
2. 정부24( )
건강보험홈페이지 뿐만아니라 정부24사이트에서도 무료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 등본, 주민등록 초본 등도 정부24에서 본인확인만 된다면 어떤 시간에도 발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부24 콜센터의 연락처는 1588-2188입니다.
: 민원여기요>개인민원>증명서 발급 및 확인>자격득실확인서
![]() |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
![]() |
개인민원업무 목록 |
2. 정부24( )
건강보험홈페이지 뿐만아니라 정부24사이트에서도 무료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 등본, 주민등록 초본 등도 정부24에서 본인확인만 된다면 어떤 시간에도 발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부24 콜센터의 연락처는 1588-2188입니다.
3. 'The 건강보험' 앱
국민건강보험이 어플입니다.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서 '건강보험'으로 검색하시면 'The건강보험'이 제일 처음으로 나옵니다. 설치 후에 우측 상단의 '민원여기요' 를 클릭하고, '증명서 발급 확인' 메뉴로 들어가서 발급가능하며, 모바일 환경이기때문에 직접 프린트는 불가능하여, 팩스로 수신 가능합니다. 팩스번호가 없으신 경우, 모바일 팩스 어플을 활용하여 팩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PDF저장 또는 이메일 발송도 가능합니다.
4. 무인민원발급기(전국 시, 군, 구청, 행정복지센터)
프린터가 없는 경우에 유용한 방법입니다. 우선 '무인민원발급기'가 설치된 장소는 대부분 시, 군, 구청, 행정복지센터 이지만, 정확히 확인하고 싶은 경우, 정부24사이트에서 설치장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가 있는 곳에서 가까운 무인민원발급기를 찾아보세요.
(정부24 홈페이지: 고객센터> 무인민원발급안내>무인민원발급 설치장소안내>지역검색)
역시 무료입니다!
4. 무인민원발급기(전국 시, 군, 구청, 행정복지센터)
프린터가 없는 경우에 유용한 방법입니다. 우선 '무인민원발급기'가 설치된 장소는 대부분 시, 군, 구청, 행정복지센터 이지만, 정확히 확인하고 싶은 경우, 정부24사이트에서 설치장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가 있는 곳에서 가까운 무인민원발급기를 찾아보세요.
(정부24 홈페이지: 고객센터> 무인민원발급안내>무인민원발급 설치장소안내>지역검색)
역시 무료입니다!
5.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방문/전화)
: 고객센터 전화연결 후, 본인확인 뒤 팩스를 발급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고객센터 1577-1000은 국민건강보험의 대표전화번호로 안내되고 있는데, 유료로 홈페이지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각 지역 건강보험 지사의 전화번호도 나와있으니 가까운 지사로 팩스요청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고객센터 전화연결 후, 본인확인 뒤 팩스를 발급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고객센터 1577-1000은 국민건강보험의 대표전화번호로 안내되고 있는데, 유료로 홈페이지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각 지역 건강보험 지사의 전화번호도 나와있으니 가까운 지사로 팩스요청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대출 등의 금융상품을 위해서는 6개월 이상 가입한 직장가입자의 증명서 또는 3개월 연속으로 가입한 지역가입자의 증명서가 필요하다고 하니, 대출/ 신용 거래 등의 상품을 활용할 계획인 경우라면, 미리미리 준비를 해두어야 필요할 때 증명서 발급이 수월할 것 같습니다.
이직이 잦으신 분들이나 프리랜서처럼 짧은 기간의 직장 이력이 많으신 분들의 경우, 재직증명서로 재직기간을 증명하기보다는 국민건강보험의 자격득실확인서로 갈음하면 훨씬 수월할 것입니다. 국가기관에서 발급하는 증명서이니 공신력은 의심할 이유가 없으니 이보다 더 정확한 서류는 없을 것 입니다.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는 어떤 것이고, 어떤 곳에서 발급을 받을 수 있으며, 어떻게 발급받는지, 비용은 얼마인지, 그리고 간단한 활용법까지 정리해봤습니다.